맨위로가기

룽먼 석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룽먼 석굴은 중국 뤄양의 이허 강 양쪽에 위치한 석굴로, 북위 시대부터 당나라 시대에 걸쳐 조성된 불교 조각 유적이다. 1,400여 개 석굴에 약 10만 점의 조각상이 있으며, 윈강 석굴, 모가오 석굴과 함께 중국 3대 석굴로 꼽힌다. 북위 시대에는 고양동, 빈양중동 등이 조성되었고, 당나라 시대에는 봉선사동이 최대 규모로 조성되었다. 봉선사동의 비로자나불은 룽먼 석굴을 대표하는 불상으로, 측천무후를 모델로 했다는 설이 있다. 룽먼 석굴은 200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보호와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주요 석굴로는 고양동, 빈양삼동, 봉선사동 등이 있으며, 관광 명소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뤄양시의 건축물 - 백마사
    백마사는 중국 뤄양에 있는 불교 사찰로, 68년에 불경과 불상을 흰 말에 싣고 온 두 승려의 전설에 따라 이름 붙여졌으며, 중국 불교 초창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장이 순례를 시작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수나라의 문화 - 태극궁
    태극궁은 수나라 시대 대흥궁으로 불리던 궁궐로, 수나라 초기에 건설되어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의 정치적, 행정적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자금성보다 큰 규모를 자랑한다.
  • 수나라의 문화 - 절운
    《절운》은 육법언이 편찬한 운서로, 193개의 운으로 한자를 분류하고 반절로 발음을 표기하여 수나라 시대 방언을 종합적으로 반영, 당나라 시대 문학 발음의 권위 있는 자료로 자리매김하며 후대 운서와 중세음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룽먼 석굴
개요
루쉐나불
루쉐나불
위치뤄양, 뤄룽 구, 허난 성
등재 정보
문화재 기준(i), (ii), (iii)
ID1003
등재 연도2000년
면적331 ha
완충 구역1,042 ha
명칭
한국어룽먼 석굴
중국어 간체龙门石窟
중국어 정체龍門石窟
병음Lóngmén shíkū
오어Lon-mehn zah-ku
객가어Lùhng-mùhn sehk-fāt
지리
위치 설명뤄양 시에서 남쪽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향산(香山)과 룽먼 산(龍門山)의 가파른 절벽을 따라 이수(伊河) 강 양쪽에 위치해 있다. 과거에는 이수(伊河)의 관문이라는 의미로 이궐(伊阙)이라고 불렸다.
상세 정보
조성 시기493년 ~ 1127년 (북위 효문제 ~ 북송)
주요 내용불교 석굴 사원, 11만 개 이상의 불상, 60여 개의 불탑, 2,800여 개의 명문
기타 정보
관리 기관룽먼 석굴 관리 사무소
웹사이트룽먼 석굴

2. 역사

룽먼 석굴의 역사는 북위 효문제가 산서성(山西省)의 대동에서 낙양(洛陽)으로 천도한 태화 18년(494년)부터 시작된다. 불교 조각 역사상 윈강석굴의 뒤를 이은 룽먼기(494년 - 520년)로 불리는 시기의 시작이다.

윈강석굴의 엉성한 사암질과 비교하면, 룽먼 석굴은 딱딱하고 촘촘한 감람석 재료로 되어 있어, 북위 시대에는 운강과 같이 거대한 석굴을 깎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웠다. 위서 석로지에는 500년 선무제가 효문제를 위해 축조한 석굴이 너무 커서 햇빛을 보지 못하고 계획을 축소해야 했다는 기록이 있다.[1] 양식상으로는 갸름하고 처진 어깨, 목이 긴 조형이며, 전체적으로 가녀린 인상을 준다. 중국 고유의 조형이 나타나고, 서방풍의 흔적은 희박해졌다. 상괘좌가 발달하고, 장식도 섬세하여 회화적인 표현이 두드러졌다.[2]

최초 제작기는 5세기 말 고양동에서 볼 수 있는 사적인 불상 축조에서 시작되었다. 선무제의 계획으로 만들어진 빈양동 3굴 가운데, 북위에서 완성된 것은 빈양중동뿐이었고, 빈양남동과 빈양북동은 초기에 완성되었다. 북위 시대의 대표적인 석굴로는 연화동이 있다. 북위 멸망 후에도 석굴 축조는 계속되어, 약방동은 북제에서 수나라에 걸쳐 만들어졌다.[3]

당대에는 위왕 이태가 빈양 3동을 수리하고, 저수량에게 명하여 서도사상 유명한 「이궐불감비」를 쓰게 하여 641년에 비를 세웠다. 당나라 시대의 첫 대표작은 656년~669년에 완성된 경선사동이다. 그 후 혜간동이나 만불동이 완성되어, 고종 시대에 룽먼 석굴은 최대 전성기를 맞이한다.[4]

675년에 완성된 봉선사동은 룽먼 최대의 석굴로 고종 때 시작되어 황후 무씨(武氏, 후의 측천무후)도 예산을 기부하였다. 봉선사의 본존 비로자나불측천무후의 용모를 조각한 것이라는 전설이 있지만, 기부 시기와 맞지 않고 여러 근거에서 부정되고 있다. 측천무후는 미륵불의 화신이라고 하여 존상도 맞지 않다.[5]

측천무후 시대에는 서산 남쪽 정토동 부근까지 축조되었고, 측천무후 말에서 현종 시기에는 동산에도 석굴을 축조하게 되었다. 간경사동이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 불상 곁에는 조각 동기, 공양문, 각자 이름, 조각 연월 등이 조상기로 덧붙여졌는데, 북위부터 조각되어 뛰어난 20점은 《룽먼 20품》이라 하여 육조 진서 서적으로 남아 있다.

2. 1. 북위 시대 (493년 ~ 534년)

북위 효문제가 494년 평성에서 뤄양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룽먼 석굴 조성이 시작되었다. 이는 불교 조각사에서 윈강 석굴을 이은 룽먼기(494년~520년)의 시작이었다.

룽먼 석굴은 단단하고 치밀한 감람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윈강 석굴과 같은 거대한 석굴을 만들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위서 석로지에는 500년 선무제가 효문제를 위해 조성한 석굴이 너무 커서 빛을 보지 못하고 계획을 축소해야 했다는 기록이 있다.[1]

북위 시대 석굴의 양식은 가늘고 긴 형태의 불상이 특징이며, 전체적으로 가냘픈 인상을 준다. 중국 고유의 조형도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서방풍의 영향은 희박해졌다. 상현좌가 발달하고 장식이 섬세해지는 등 회화적인 표현이 두드러졌다.[2]

5세기 말 고양동에서 사적인 불상 조성이 시작되었다. 선무제의 계획으로 만들어진 빈양동 3굴 중 북위 시대에 완성된 것은 빈양중동뿐이었고, 빈양남동과 빈양북동은 당나라 초기에 완성되었다. 북위 시대의 대표적인 석굴로는 연화동이 있다. 북위 멸망 후에도 석굴 조성은 계속되어, 약방동은 북제에서 수나라에 걸쳐 만들어졌다.[3]

2. 2. 당나라 시대 (626년 ~ 907년)

당나라 시대에 룽먼 석굴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656년에서 669년 사이(현경 연간~총장 연간)에 완성된 경선사동을 시작으로, 혜간동, 만불동 등이 조성되었다.[4] 고종 시대에 룽먼 석굴은 최대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4]

675년(상원 2년)에 완성된 봉선사동은 룽먼 최대의 석굴로, 고종 때 시작되어 황후 무씨(武氏, 후의 측천무후)도 예산을 기부하였다.[5] 봉선사동의 본존 비로자나불의 얼굴은 당시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측천무후의 용모를 조각한 것이라는 전설이 있지만, 기부된 시기와 맞지 않고 여러 근거에서 부정되고 있다.[5] 측천무후는 미륵불의 화신이라고 하여 존상도 맞지 않는다.[5]

2. 3. 북송 시대 (960년 ~ 1127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북송 시대(960년 ~ 1127년)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요약에 있는 내용("이 시기에도 석굴 조성이 계속되었으나, 이전 시기만큼 활발하지는 않았다. 금나라와 원나라 사이의 내전으로 석굴 조성이 중단되었다.") 또한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2. 4. 근현대

중일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은 룽먼 석굴을 약탈하여 많은 조각상들을 일본으로 가져갔다. 이 유물들 중 다수는 현재 일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 1940년대에는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훼손 행위가 발생했다. 문화 대혁명 기간에는 많은 조각상들의 머리가 파괴되었다. 석굴에서 가져온 두 개의 벽화는 뉴욕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의 넬슨-앳킨스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5][6]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석굴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22조는 자연 유산 보호를 포함한 여러 사안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 조항은 중국의 문화 유산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제정된 다양한 법적 장치에 의해 더욱 구체화되었다.[3]

1953년 문화부 산하에 룽먼 유물 관리국이 설립되었다.[3] 1954년에는 새롭게 설립된 룽먼 석굴 문화 유물 관리 및 보존 사무소에서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1961년, 중국 국무원은 룽먼 석굴을 특별 보호가 필요한 국가 문화 유적으로 선포했다. 1982년에는 국가 차원에서 보호되는 최초의 풍경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7] 1990년 관리 및 보존 사무소는 룽먼 석굴 연구소로, 2002년에는 룽먼 석굴 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8] 뤄양 시 인민 정부는 이 유적 관리 책임을 맡고 있다.

3. 주요 석굴

룽먼 석굴에는 수많은 석굴이 있으며, 각 석굴마다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요 석굴은 다음과 같다.


  • 고양동(古陽洞): 룽먼 석굴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며, 북위 양식의 조각이 특징이다. 북위 효문제의 명령으로 만들어졌으며, 정교한 불상 조각과 북위 양식의 서예 비문 600여 개가 있다.

  • 빈양삼동(賓陽三洞): 빈양중동, 빈양남동, 빈양북동으로 구성된다.
  • '''중빈양동'''은 북위 선무제가 부모를 기리기 위해 지었으며, 북위 양식의 큰 불상 5구가 있다.
  • '''빈양남동'''은 당 태종의 넷째 아들 이태가 어머니 장손 황후를 위해 조각한 5개의 큰 불상이 있으며, 중앙 불상은 아미타불이다.

  • 봉선사동(奉先寺洞): 룽먼 석굴에서 가장 큰 조상 숭배 동굴로, 측천무후를 위해 만들어졌다. 당나라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며, 룽먼 석굴에서 가장 큰 불상인 비로자나불상이 있다. 높이는 17.14m이다. 이 불상은 측천무후의 모습을 본떴다는 전설이 있지만 부정되고 있다.

  • 기타 석굴:
  • '''연화동(蓮花洞)'''은 527년에 만들어졌으며 천장에 큰 연꽃이 조각되어 있다.
  • '''경선사동(敬善寺洞)'''에는 초기 당나라 아미타불 좌상이 있다.
  • '''만불동(萬佛洞)'''에는 15,000개의 부처가 작은 틈새에 조각되어 있다.
  • '''약방동(藥方洞)'''에는 140개의 의학 처방이 새겨져 있다.
  • '''간경사동(看經寺洞)'''은 측천무후 말기부터 현종 대에 동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석굴이다.

3. 1. 고양동 (古陽洞)

이허 강 위의 룽먼교 아래 룽먼 석굴(룽먼 시쿠) 입구


주요 석굴의 거대한 불상


고양동(古陽洞)은 룽먼 석굴에서 가장 오래된 석굴로, 북위 양식의 조각이 특징이다. 서산 중앙부에 위치한 가장 큰 동굴이기도 하다. 효문제의 명령에 따라 조각되었으며, 효문제가 수도를 평성에서 낙양으로 옮기려 했던 서기 478년에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조각이 이 석회암 동굴에서 발견된다.[5]

동굴 내 감실에는 불상들이 매우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북위 양식의 서체로 된 600여 개의 서예 비문도 발견되었다.[5] 왕족이 기증한 조각들이 많으며, 종교 단체들도 이 활동을 지원했다. 동굴 안에는 세 개의 큰 불상이 있는데, 중앙에는 석가모니불이 있고 양 옆에는 보살상이 있다. 불상들은 가늘고 수척한 북위 양식을 띠고 있다. 동굴 내부 벽과 감실에는 약 800개의 비문이 있는데, 이는 중국의 모든 동굴 중 가장 많은 수치이다.[3] 동굴의 북쪽과 남쪽 벽에는 두 줄의 감실이 있고, 매우 많은 수의 불상이 있다. 조각가들은 자신들의 이름, 날짜, 조각 이유를 기록해 놓았다.

3. 2. 빈양삼동 (賓陽三洞)

빈양삼동(賓陽三洞)은 빈양중동, 빈양남동, 빈양북동으로 구성된다.

; 중빈양동

중빈양동의 후면 및 북쪽 벽


중빈양동 중앙 석가모니 상의 윗부분


중빈양동 남쪽 벽


중빈양동()은 서쪽 언덕 북쪽 부분에 있는 다퉁 양식의 동굴이다. 선무제가 아버지 효문제와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 지었다. 500년부터 523년까지 80만 명의 인부가 동굴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동굴의 주 벽에는 북위 양식의 매우 큰 불상 5구가 조각되어 있다. 중앙 불상은 석가모니불이며, 양쪽에는 보살상 4구가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측벽에도 보살상 옆에 불상이 있다. 동굴에 세 그룹으로 배치된 불상은 과거, 현재, 미래의 불교를 대표한다. 천장은 연꽃으로 디자인되었다. 효문제, 문소 황후, 황제의 돌아가신 부모를 숭배하는 행렬을 묘사한 두 개의 대형 부조가 있었으나, 1930년대 중반에 완전히 도난당했다. 황제의 행렬은 현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있으며, 황후의 행렬의 3분의 2는 캔자스시티 넬슨-애킨스 미술관에 있다. 일부 조각상은 "긴 특징, 얇은 얼굴, 물고기 꼬리 모양의 옷, 그리스의 영향"을 받아서 조각되었지만, 다른 조각상은 당나라 시대의 자연스러운 양식과 육중한 모습으로 조각되었다.[3][5]

; 빈양남동

빈양남동(宾阳南洞|빈양남동중국어)에는 당 태종의 넷째 아들 이태가 어머니 장손 황후를 기리기 위해 서기 641년에 조각한 다섯 개의 매우 큰 불상이 있다. 평화로운 모습의 중앙 불상은 보살상에 둘러싸인 받침대에 앉아 있는 아미타불이며, 북위와 당나라 양식이 혼합되어 평화롭게 보인다.[3]

3. 3. 봉선사동 (奉先寺洞)

룽먼 석굴의 거대한 비로자나불


펑셴쓰(奉先寺) 또는 리즈 동굴은 서산에 조각된 모든 동굴 중 가장 큰 조상 숭배 동굴로, 측천무후를 위해 672년부터 676년 사이에 건설되었다.[11] 이 조각들은 당나라 건축의 궁극적인 완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동굴 내 사당은 39m x 35m 크기이며, 룽먼 석굴에서 가장 큰 불상이다.[11] 아홉 개의 거대한 조각상 중, 매우 인상적인 비로자나불상은 펑셴쓰의 뒷벽에 조각되어 있다. 이 불상은 높이가 17.14m이고 귀 길이가 2m이다.[1][4][11] 이 불상 기단에는 조각 연도로 676년이 새겨져 있다. 본존불 좌측에 있는 보살은 관과 구슬로 장식되어 있다. 또한 악령을 밟는 신적인 인물도 묘사되어 있다. 주 비로자나불상의 특징은 통통하고 평화로우며 자연스러운 표정이다. 다른 거대한 조각상들도 각자의 역할을 나타내는 표정으로 조각되었다. 이들은 측천무후의 명에 따라 조각되었으며, 당나라의 "활기차고, 우아하며, 사실적인 스타일"을 독특하게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거대한 비로자나불상은 "중국 불교 조각의 정수"로 여겨진다.[1][3][4][5]

비로자나불상 기단에는 이곳에서 작업한 장인들의 이름, 기증자였던 고종의 이름, 그리고 측천무후를 기리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측천무후가 이 사찰을 완공하기 위해 "2만 관의 연지 가루 돈"을 기증했다고 한다.[4] 따라서 비로자나불상은 여황제 자신을 닮도록 조각되었으며 "중국의 모나리자, 비너스 또는 중국의 어머니"로 불린다. 훼손되지 않은 이곳의 모든 상들은 개성과 생동감을 보여준다. 가섭과 아난 두 비로자나불의 주요 제자와 관을 쓴 두 보살상이 본존불상을 옆에서 호위하며, "지국천 (수호신 또는 천왕) , 인왕 (사찰 수호신), 비천, 그리고 수많은 다른 인물들"도 함께 조각되어 있다.[4]

3. 4. 기타 석굴

연화동, 경선사동, 만불동, 약방동, 간경사동 등 다양한 석굴들이 있다.

;연화동

연화동(莲花洞|롄화둥중국어)은 527년에 만들어졌으며 북위 시대에 속한다. 이 석굴에는 천장에 융기된 큰 연꽃이 조각되어 있다. 몇몇 작은 부처들이 남쪽에 조각되어 있다. 남쪽과 북쪽 벽에는 틈새에 제단이 있다.[5]

연꽃 동굴


;경선사동

바이로차나의 얼굴 클로즈업


현대식 콘크리트 계단을 따라 절벽을 올라가면 전계사 또는 은계사 동굴이 나오는데, 이곳은 서산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큰 동굴이다. 고종 치세(653–80)에 만들어진 이 동굴에는 거대한 좌상 초기 당나라 부처 (아미타불)가 있으며, 그 양쪽에는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의 조각상이 있다. 이 조각상들은 당나라 스타일의 특징적인 세련된 표현으로 조각되었다.[3] 이 동굴은 남평 공주가 후원했으며, 최근에 사망한 그녀의 아버지 고종을 위한 것일 수 있다.[14]

;만불동

만불동(萬佛洞, "만 개의 부처 동굴") 또는 융룽동(永隆洞)[12]680년고종측천무후가 지었다. 이 동굴에는 높이가 2cm인 가장 작은 부처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15,000개의 부처가 작은 틈새에 조각되어 있다.[5]

;약방동

약방동(药方洞|야오팡둥중국어)에는 감기부터 정신 질환까지 다양한 의학적 문제에 대한 140개의 의학 처방이 작은 비문으로 새겨져 있다.[13] 이들은 입구 양쪽 벽에 새겨져 있다. 이 조각들은 북위 말기부터 당나라 초까지의 시기에 만들어졌다.[3][5]

;간경사동

측천무후 시대에는 서산 남방의 정토동 부근까지 석굴 조성이 이루어졌고, 측천무후 말기부터 현종 대에는 동산에도 석굴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간경사동(看經寺洞)이 대표적이다.

4. 지리적 특징

룽먼 석굴은 뤄허의 지류인 이허 강 양쪽 기슭의 절벽에 조성되어 있다. 샹산(동쪽)과 룽먼산(서쪽)의 두 산줄기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강에 의해 형성된 계곡은 강의 서쪽과 동쪽 경사면에 가파른 경사를 이루고 있다. 석굴은 이 강의 1km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작업은 서쪽 기슭에서 이루어졌다. 동쪽 기슭의 석굴은 수가 적고, 많은 수의 승려들의 거주지 역할을 했다.[2][4] 룽먼 석굴을 만드는 석회암 지층은 이 지역의 독특한 지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문화적 의의 및 영향

룽먼 석굴은 중국 불교 미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이다. 북위 시대부터 당나라 시대까지의 불상 조각 양식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한국의 석굴암을 비롯한 동아시아 불교 미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룽먼 석굴은 다음과 같은 문화적 의의와 영향을 가진다.


  • 인류의 창조적 재능을 표현하는 걸작: 룽먼 석굴은 뛰어난 조형미와 예술성을 보여주는 인류의 창조적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 건축, 기술, 예술의 교류: 룽먼 석굴은 오랜 시간에 걸쳐 축조되면서 건축, 기술, 기념비적 예술, 도시 계획, 경관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류의 가치 교류를 보여준다.
  • 문화적 전통의 증거: 룽먼 석굴은 현존하거나 소멸된 문화적 전통 또는 문명의 유일하거나 드문 증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룽먼 석굴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6. 보존 및 복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1951년부터 룽먼 석굴을 식별, 구획, 계획 및 복원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3] 우선, 동굴 주변의 환경 조건을 평가하고 적절한 복원 조치를 계획하기 위해 기상 관측소를 설치했다. 이어서 동굴 지붕과 측면에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암반 기초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집중적인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 뿌리가 얽힌 과도하게 자란 식물들을 제거했으며, 난간, 보도, 계단이 있는 산책로 형태로 동굴 접근 수단을 새롭게 설치했다.[3]

유네스코는 일정 기간 평가를 거쳐 룽먼 석굴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했다. 이는 룽먼 석굴의 조각상이 인간의 예술적 창의성을 뛰어나게 보여주며, 아시아 지역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예술 형식의 완벽함을 보여주고, 당나라 시대 중국의 높은 문화 수준과 정교한 사회를 담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3] 유네스코세계유산 지정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유적지를 수시로 검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유산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3]

지난 60여 년 동안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기울인 노력은 석굴이 비교적 잘 보존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장했다. 이러한 노력은 중국 문화 유물 보호 기관, 중국지질대학교(우한), 룽먼 문화 유물 관리국의 통합된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및 복원 작업에 대한 자금은 1999년 뤄양시 인민 정부가 승인한 개정된 5개년 및 10개년 계획에 따라 제공되었다.[3]

조각상이 조각된 석회암의 박리 현상

7. 관광

룽먼 석굴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급 풍경 명승구로 1982년에 지정되었으며,[15] 중국 5A급 관광지이다.[16] 2020년 1월 현재 입장료는 통상 기간 120CNY, 비수기 90CNY이다. 서산 석굴, 동산 석굴, 향산사, 백거이 묘원(백원)에 입장할 수 있다. 동산 석굴과 서산 쪽 입구에는 유료 전동 카트가 있어, 피로도 등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시내 각지에서 "룽먼 석굴"행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고속철도 뤄양룽먼역에서는 71번과 V9번 버스를 이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ongmen Grottoes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11-05-18
[2] 웹사이트 Longmen Grottoe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1-05-17
[3] 웹사이트 Longmen Grottoes (China) No 1003 https://whc.unesco.o[...] Unesco.org 2011-05-17
[4] 웹사이트 Longmen Grottoes (carved 480s–900 onward) http://www.orientala[...] orientalarchitecture.com 2011-05-18
[5] 웹사이트 Longmen Caves http://www.sacred-de[...] sacred-destinations.com 2011-05-17
[6] 웹사이트 Introducing Longmen Caves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1-05-17
[7] 웹사이트 Serveice Guide http://www.lmsk.cn/e[...] Official website of Longmen Grottoes 2011-05-18
[8] 문서 McNair, p. 2
[9] 서적 The Arts of China to A.D. 9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1-05-18
[10] 서적 Early Chinese religion: the period of division (220-589 AD). Part two https://books.google[...] BRILL 2011-05-18
[11] 서적 Art for All: What Is Public Art? https://books.google[...] Heinemann-Raintree Library 2011-05-18
[12] 서적 China today and her ancient treasures https://archive.org/[...] Abrams 2011-05-18
[13] 서적 National Geographic Traveler China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Books 2011-05-18
[14] 서적 Donors of Longmen: faith, politics, and patronage in medieval Chinese Buddhist sculp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1-05-18
[15] 웹사이트 国务院批转城乡建设环境保护部等部门关于审定第一批国家重点风景名胜区的请示的通知 http://fgcx.bjcourt.[...] 北京法院法規検索 2023-02-05
[16] 웹사이트 洛阳市龙门石窟景区 https://www.mct.gov.[...] 中华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3-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